당신이 꿈꾸는 마당의 풍경
야드세일에서 이름을 따왔다는 야드Yard. 각종 미드와 헐리웃 무비로 단련된 우리에게 어느 미국 주택가 앞마당에서 펼쳐지는 벼룩시장을 떠올리기란 어려운 일이 아니었어요. 잔디 위에 깔린 돗자리와 그 위의 잡동사니들. 야드라는 이름에는 마당을 거닐다가 마음에 드는 물건을 찾을 때의 기쁨처럼 사람들이 자신의 취향에 맞는 공예를 찾길 바란다는 뜻을 담았다고 해요.
꼭 야드의 미션이 우리 곁 작은 예술을 소개하는 만든MANDEUN과도 닮았다는 생각을 했어요. 창작자와 창작자가 만나는 정원은 어쩌면 야드세일이 열리는 앞마당이기도 할 테니까요. 야드가 열어 놓은 잔디밭에서는 재능있는 창작자들의 다양한 만남이 만들어진답니다.
공예를 주제로 다채롭게 펼쳐지는 야드의 프로젝트, 어쩌면 공예를 즐기는 또 다른 방식이 아닐까요. 그래서 더 궁금하더라고요. 지금 야드의 앞마당에는 어떤 물건들이 있을까. 만든은 야드에게 물었습니다. 당신이 꿈꾸는 마당의 풍경은 무엇인가요?
about 야드Yard. 야드Yard는 기획자, 공예가, 디자이너 등 다양한 분야의 창작자가 모인 프로젝트 그룹입니다. 야드는 공예를 대중에게 더 쉽게, 더 입체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프로젝트를 전개하며 공예 씬의 확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로컬스티치와 함께 한 ’베드 앤 피시스Bed & Pieces’ 전시를 시작으로 2023 공예주간에서 선보인 ‘프론트야드 인스티튜트Frontyard Institute’까지 매 프로젝트를 통해 공예에 관한 야드만의 시각을 선보였습니다. 로컬스티치 회현의 야드 쇼룸에서는 공예 작가들의 매력적인 공예품을 구입하거나 클래스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야드에서 선보인 베드 앤 피시스Bed & Pieces(2021) 각 방마다 공예작가가 객실 콘셉트로 꾸민 쇼룸에서는 작가만의 공예품을 자유롭게 만져볼 수 있다.
만든에서 창작자를 만날 때면 섬세한 손길이 드러나는 작업 과정, 그리고 창작자의 작업 공간을 정성들여 촬영해요. 야드만의 작업이라면 공예와 대중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클래스’가 아닐까 싶더군요. 즉석에서 만든의 에디터 지니와 비아가 클래스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두 사람이 함께 한 클래스는 흙한덩이 워크숍. 실제로 도자공예를 전공한 야드의 서진혁 작가와 함께 물컹한 흙덩어리를 빚으며 첫 인사를 나눴습니다. 흙을 다지고 넓히고 자르며 저마다 갖고 싶은 모양의 접시를 만들었는데요. 지니와 비아는 서로의 흙을 보며 역시나 우리 참 다르다며 웃었답니다. 도자기가 이렇게 재밌구나 싶던 시간. 즐거운 워크숍을 마친 후에는 야드 쇼룸에서 대화를 이어갔습니다.